예체능계열 졸업자 취업률 및 월급여 현황
◦ 조사대상 : 전국 일반대학, 교육대학, 산업대학, 전문대학, 각종학교,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17년 2월과 2016년 8월 졸업자를 대상으로 2017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취업, 진학 등 졸업 후 상황 파악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, 국세청, 고용노동부, 병무청,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(DB)와 연계하여 고등교육기관 졸업생 57만 4,009명 전수를 대상으로 조사
◦ 학생 진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계열별 취업현황 및 취업 준비기간, 급여 수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.
■ 예체능계열 전체 취업현황
<’1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예체능계열 취업현황> | ||||||||||
(단위: 명, %) | ||||||||||
구분 |
졸업자 |
취업 대상자 |
취업자 |
취업률 |
취업 현황 | |||||
건강보험직장가입자 |
해외 취업자 |
농림어업종사자 |
개인 창작활동 |
1인창 (사)업자 |
프리 랜서 | |||||
예체능계열 |
69,502 |
61,006 |
38,451 |
63 |
26,670 |
284 |
33 |
2,978 |
1,300 |
7,186 |
※ 「2017 학과(전공) 분류 자료집(한국교육개발원, 2017」을 적용함 ※ 전문대학 : 대분류(7개), 중분류(31개) ※ 대학, 일반대학원 : 대분류(7개), 중분류(35개) |
<최근 4년간 예체능계열 취업률 현황> | ||||
각 년도 12월 31일 기준 (단위: %) | ||||
구분 |
2014 |
2015 |
2016 |
2017 |
예체능계열 |
59.6 |
61.9 |
63.6 |
63 |
■ 예체능계열 상세 취업률 현황
▷ 예체능계열은 전체 졸업자 69,502명 중 취업자는 38,451명, 취업대상자는 61,006명으로 63.0%의 취업률을 보임
◦ (중계열) 고등교육기관 전체는 무용·체육, 응용예술이 각각 65.7%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, 전문대학은 미술·조형(76.4%), 대학은 무용·체육(66.6%), 일반대학원은 연극·영화(84.4%)가 가장 높게 나타남
◦ (성별) 남성 65.8%, 여성 61.6%로 4.2%p의 격차를 보이며 전문대학은 여성이 대학, 일반대학원은 남성이 높게 나타남
<’17년 예체능계열 취업률 현황> | ||||||||
(단위: %) | ||||||||
구분 | 중계열 | 총계 | 디자인 | 무용ㆍ체육 | 미술ㆍ조형 | 연극ㆍ영화 | 음악 | 응용예술 |
고등교육기관 | 계 | 63 | 64.9 | 65.7 | 57.6 | 63.5 | 52.1 | 65.7 |
남 | 65.8 | 67.3 | 67 | 61.9 | 65.2 | 57.6 | 67.4 | |
여 | 61.6 | 64.1 | 63.3 | 56.9 | 62.2 | 50 | 65.3 | |
전문대 | 계 | 64.9 | 66.3 | 61.2 | 76.4 | 61.6 | 58.2 | 66.2 |
남 | 64.5 | 66.4 | 61.9 | 72.2 | 62.7 | 60.5 | 66.7 | |
여 | 65 | 66.2 | 60.2 | 76.7 | 61 | 56.4 | 66.1 | |
대학 | 계 | 61.3 | 62.8 | 66.6 | 56.9 | 63.8 | 49.2 | 64 |
남 | 65.4 | 66.1 | 68 | 60.1 | 66.1 | 53 | 67.1 | |
여 | 59.2 | 61.8 | 64.1 | 56.4 | 61.9 | 48 | 62.9 | |
일반대학원 | 계 | 61 | 68.5 | 69 | 52.1 | 84.4 | 51 | 70.9 |
남 | 70.4 | 76.1 | 70.4 | 65.9 | 91.7 | 64.7 | 74.5 | |
여 | 57 | 66 | 67.2 | 49 | 80 | 48.1 | 69.5 |
■ 예체능계열 전체 유지취업 현황
▷ 유지취업률은 예체능계열 65.4%로 나타남
<‘17년 예체능계열 유지취업률 현황 > | ||
(단위 : 명, %) | ||
구 분 |
예체능계열 | |
졸업자 |
69,502 | |
12월 건강보험 | 직장 가입자 | 26,670 |
1차 | 유지 취업자 | 22,625 |
유지 취업률 | 84.8 | |
2차 | 유지 취업자 | 20,530 |
유지 취업률 | 77 | |
3차 | 유지 취업자 | 18,127 |
유지 취업률 | 68 | |
4차 | 유지 취업자 | 17,436 |
유지 취업률 | 65.4 | |
※ 「2017 학과(전공) 분류 자료집(한국교육개발원, 2017)」을 적용함 |
■ 예체능계열 상세 유지취업 현황
▷ 예체능계열 12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26,670명 중 유지취업자(4차)는 17,437명으로 65.4%의 유지취업률을 보임
◦ (중계열) 고등교육기관 전체는 무용·체육이 72.6%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, 전문대학, 대학은 무용·체육(각각 65.4%, 74.0%), 일반대학원은 음악(83.0%)이 가장 높게 나타남
◦ (성별) 남성 70.1%, 여성 62.8%로 7.3%p의 격차를 보이며 전문대학, 대학, 일반대학원 모두 남성이 높게 나타남
<’17년 예체능계열 유지취업률 현황> | ||||||||
(단위: %) | ||||||||
구분 |
중계열 |
총계 |
디자인 |
무용ㆍ체육 |
미술ㆍ조형 |
연극ㆍ영화 |
음악 |
응용예술 |
고등교육기관 |
계 |
65.4 |
65.2 |
72.6 |
64.1 |
57.1 |
62.7 |
61.8 |
남 |
70.1 |
67.7 |
75 |
69.7 |
62.6 |
68.6 |
65.6 | |
여 |
62.8 |
64.2 |
67.5 |
63.1 |
53.1 |
59.6 |
60.7 | |
전문대 |
계 |
60.6 |
61.1 |
65.4 |
64.2 |
52.7 |
59 |
59.2 |
남 |
63.8 |
63.5 |
67.9 |
55.6 |
57.9 |
64.3 |
61 | |
여 |
59.1 |
60.1 |
61.1 |
65 |
49.2 |
54.5 |
58.8 | |
대학 |
계 |
67.8 |
67.5 |
74 |
62.4 |
60.2 |
61.5 |
65.3 |
남 |
72.7 |
70 |
76.2 |
68 |
64 |
69 |
69.5 | |
여 |
64.9 |
66.7 |
69.1 |
61.4 |
57.3 |
58.6 |
63.9 | |
일반대학원 |
계 |
81 |
80.5 |
82.1 |
78.6 |
71.4 |
83 |
80.3 |
남 |
85.8 |
86.5 |
85.2 |
82.8 |
83.3 |
84.7 |
90.6 | |
여 |
77.7 |
77.9 |
76 |
77.5 |
62.5 |
82.2 |
75 |
■ 예체능계열 취업자 월 급여
<예체능계열 취업자 월급여 현황> | ||||
2017년 12월 31일 기준 (단위: 천원, 명) | ||||
구분 |
예체능계열 계 | 예체능계열 학부 | 예체능계열 대학원 | |
졸업자 |
69,502 | 66,117 | 3,385 | |
분석 대상자 |
26,365 | 25,354 | 1,011 | |
평균소득 |
1,871 | 1,831 | 2,875 | |
중위소득 |
1,665 | 1,650 | 2,254 | |
소득 금액별 취업자 수 | 100만 미만 | 1,823 | 1,742 | 81 |
100만~ 200만 미만 | 17,311 | 16,968 | 343 | |
200만~ 300만 미만 | 5,310 | 5,046 | 264 | |
300만~ 400만 미만 | 1,182 | 1,059 | 123 | |
400만 이상 | 739 | 539 | 200 |
※ 평균소득 : 전체 소득의 합을 분석대상자 수로 나눈 금액
※ 중위소득 : 소득순으로 순위를 매겼을 때, 중앙에 위치하는 금액
■ 예체능계열 취업준비기간
<예체능계열 취업자 준비 기간 현황> | ||||||||||
2017년 12월 31일 기준 (단위: 명, %) | ||||||||||
구분 |
졸업자 |
분석 대상자 |
취업 준비 기간 | |||||||
입학전 |
졸업전 |
3개월 |
6개월 |
9개월 |
12개월 |
16개월 |
16개월 이상 | |||
[예체능계열] 학부 |
66,117 |
25,354 |
486 |
7,135 |
5,456 |
4,351 |
4,717 |
2,476 |
707 |
26 |
디자인 |
22,093 |
10,302 |
1.3 |
27.9 |
19.9 |
18.4 |
19.6 |
10.1 |
2.8 |
0.1 |
응용예술 |
14,943 |
6,268 |
1.6 |
27.9 |
21.3 |
18.0 |
19.0 |
10.1 |
2.1 |
0.1 |
무용·체육 |
13,049 |
5,048 |
3.8 |
34.3 |
22.4 |
13.5 |
14.7 |
8.7 |
2.5 |
0.1 |
미술·조형 |
3,937 |
1,132 |
1.0 |
20.0 |
24.2 |
17.4 |
20.9 |
10.9 |
5.6 |
0.1 |
연극·영화 |
3,317 |
825 |
2.2 |
21.0 |
20.2 |
18.5 |
21.3 |
10.9 |
5.2 |
0.6 |
음악 |
8,778 |
1,779 |
1.9 |
21.4 |
28.2 |
16.8 |
19.8 |
8.7 |
3.1 |
0.1 |
[예체능계열] 대학원 |
3,385 |
1,011 |
199 |
373 |
143 |
84 |
111 |
58 |
41 |
2 |
디자인 |
616 |
239 |
15.1 |
33.1 |
19.7 |
10.0 |
11.3 |
5.9 |
4.6 |
0.4 |
응용예술 |
422 |
152 |
18.4 |
38.8 |
11.2 |
7.2 |
12.5 |
6.6 |
5.3 |
0.0 |
무용·체육 |
803 |
294 |
20.4 |
39.1 |
13.6 |
7.5 |
10.5 |
6.8 |
2.0 |
0.0 |
미술·조형 |
558 |
128 |
15.6 |
31.3 |
17.2 |
7.8 |
12.5 |
7.8 |
7.0 |
0.8 |
연극·영화 |
44 |
13 |
7.7 |
38.5 |
23.1 |
30.8 |
0.0 |
0.0 |
0.0 |
0.0 |
■ 예체능계열 기업별 현황
<예체능계열 취업자 기업 유형별 취업현황> | |||||||
2017년 12월 31일 기준 (단위: 명) | |||||||
구분 |
예체능계열 계 |
예체능계열 학부 |
예체능계열 대학원 | ||||
졸업자 |
69,502 |
|
66,117 |
|
3,385 |
| |
분석 대상자 |
26,365 |
|
25,354 |
|
1,011 |
| |
기업 유형별 |
대기업 |
1,372 |
5.2 |
1,336 |
5.3 |
36 |
3.6 |
중견기업 |
2,104 |
8.0 |
2,069 |
8.2 |
35 |
3.5 | |
중소기업 |
18,359 |
69.6 |
17,898 |
70.6 |
461 |
45.6 | |
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|
1,526 |
5.8 |
1,350 |
5.3 |
176 |
17.4 | |
공공기관 및 공기업 |
173 |
0.7 |
153 |
0.6 |
20 |
2.0 | |
비영리 법인 |
2,608 |
9.9 |
2,337 |
9.2 |
271 |
26.8 | |
기타 |
223 |
0.8 |
211 |
0.8 |
12 |
1.2 |
출처 : 2018년도 12월 28일자 교육부 보도자료-201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
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자료를 참고하여 예체능계열을 선택한 경우 해당 학과에 대한 대한 취업률과 유지비율, 준비기간, 월 급여 정도 와 기업별 취업현황을 알아 보았습니다.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'학과정보 > 예체능계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예술 체육계열-체육계열 (0) | 2019.01.05 |
---|---|
예술 체육계열-예술계열 (0) | 2019.01.04 |